해양기술사 14

[해양기술사 기출문제 풀이] 132회 1교시 - 3. 갯벌의 기능과 갯벌의 해양보호생물

갯벌은 단순한 진흙 땅이 아니다. 바닷물이 들어왔다 나가면서 만들어진 이 독특한 땅은 수많은 생명체가 살아가는 생태계의 보고로, 자연 환경을 보호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갯벌은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많은 해양보호생물들이 이곳에 서식하고 있다. 갯벌의 기능과 해양보호생물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 갯벌의 주요 기능 1. 생태계의 보고 갯벌은 다양한 생명체의 서식지다. 게, 조개, 새우, 물고기 등 작은 생물들이 갯벌에서 살아가며, 이들을 먹이로 하는 철새들이 날아와 먹이사슬을 이루고 있다. 갯벌은 단순히 해양 생물들이 사는 곳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생태계의 일부분이다. 2. 수질 정화 갯벌에 있는 미생물과 식물들이 오염물질을 흡수하고 분해해서 깨끗한 물을..

[해양기술사 기출문제 풀이] 132회 1교시 - 2. 표영생태계와 저서생태계

오늘은 132회 1교시 2번 기출문제인 표영생태계와 저서생태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표영생태계와 저서생태계는 바다와 강에서 각각 고유한 역할을 하며, 해양 생태계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표영생태계와 저서생태계가 각각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고,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다.   | 표영생태계란? (Pelagic Ecosystem)  표영생태계는 물의 표층에서 주로 활동하는 생물들이 모여 형성된 생태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표영생태계는 표층에서 약 200미터 깊이까지의 영역을 포함하며, 햇빛이 잘 도달하는 곳이다. 이곳에서는 광합성이 활발히 이루어지며, 해양 생태계의 1차 생산자인 식물성 플랑크톤과 해조류가 많이 자란다. 이러한 광합성 생물들은 에너지를 생성해 생태계의..

[해양기술사 기출문제 풀이] 132회 1교시 - 1. 해상기준면과 육상기준면

해양기술사 기출문제 정리의 첫번째는 가장 최근 시험이었던 132회의 기출문제들이다. 오늘은 132회 1교시 1번 문제였던 해상기준면과 육상기준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기준면이란, 보통 높이를 표기하는 고도는 기준면으로부터 특정 지점까지의 수직 거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높이, 고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명확하게 정의된 '기준면'이 필요하며, 현재는 해상과 육상에서 쓰이는 이 기준면이 서로 다르다. 육상은 수준측량의 목적으로 인천만의 평균해면을 단일 수직기준면으로 쓰고 있고, 해상에서는 선박의 항해, 항만 운영, 파고 측정 등 해양관련 부문에서 활용하며 각 지역별 약최저저조위면을 수직기준면으로 쓰고 있다. 따라서, 육상과 해상 부문의 공간정보 간에는 높이 정보의 불일치가 발생하고 있다.육상 부문 :..

[해양기술사 시험정보] 시험일정, 난이도, 대우 및 전망

이번에는 해양기술사 자격증과 시험일정 및 관련정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사실, 작년에 해양기술사를 준비하려 했었는데, 안타깝게 시험일정과 가족행사가 겹쳐서 1년을 미루게 되었다. 그 동안 손을 놓고 있다가 시험일정이 다가와서 기출문제 공부를 하는김에 포스팅까지 진행해보려한다.  | 해양기술사 자격증해양기술사 자격증은 해양산업의 기술적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자격증으로, 대한민국의 국가기술자격증 중 하나다. 주로 해양 공학, 조선, 해양 환경과 관련된 고급 기술을 보유한 전문가가 취득하며, 해양 환경과 안전, 해양 개발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을 수 있다.  여기까지는 형식적인 정보고, 현업자의 입장에서 해양기술사에 대해 남겨보면, 기업에서는 거의 박사학위급의 대우를 받을 수 있는 자격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