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챌린지 21

[해양기술사 기출문제 풀이] 132회 1교시 - 12.폐기물 해양배출 적합성 판정, 생태독성 시험방법

해양기술사 132회 1교시의 12번 문항은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에 의거한 폐기물의 해양배출 적합성을 판정하기 위한 생태독성 시험방법 2가지를 설명하시오'다. 이 문제에 대한 답은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폐기물공정시험기준의 제1장 총칙에 나와있다. 제 2항 적용 범위의 4절을 보면, " 「해양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의 정밀평가란 이 해양폐기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폐기물의 해양 배출 적합성을 판정하기 위한 해양생태독성평가를 말하며, 시험 항목은 다음과 같다." 와 같이 서술되어 있으며, 시험 항목을 발광박테리아를 이용한 생태독성시험과 저서성 단각류를 이용한 생태독성시험이다. 따라서, 이 두 시험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발광박테리아를 이용한 생태독성 시험기준1. 측정원리해양성 발광박테리아의 발광..

[해양기술사 기출문제 풀이] 132회 1교시 - 11. 국내 정어리 폐사 원인

이번 문제는 132회 1교시의 11번 문제인 최근 국내 정어리 폐사 원인이다. 해당 문제는 2023년도에 기출된 문제로, 아마도 2022년에 발생한 정어리 폐사와 국립수산과학원의 조사 결과를 묻는 문제로 보인다. 오늘은 이 문제에 대해 조사한 내용을 공유해보도록 하겠다. | 주요 보도 내용 2022. 10. 28일에 한국일보에 "정어리 떼죽음, 혼획규제가 불렀다"라는 기사를 보도하였다. 경남 창원 마산만 일대에 100톤에 가까운 정어리가 죽은 채 떠오른 현상이 있었고, 이는 어민들이 법을 지키기 위해 고의로 폐기했다는 내용이다. 당시 현행법상, 멸치 견인망으로는 멸치만 잡게 되어 있었고, 다른 어종이 잡히면 불법이 되기 때문에 그물에 잡힌 정어리들을 강제로 버린 것이라는 주장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국립..

[해양기술사 기출문제 풀이] 132회 1교시 - 10. RE100

오늘 알아볼 기출문제는 132회 1교시 10번 문항인 RE100이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RE100은 그 자체의 의미보다는 정치적인 이유로 더 크게 이슈가 되기도 했다. 오늘날 지속 가능성과 환경 보호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화두 중 하나로, 기업들은 온실가스 감축과 지속 가능한 에너지 사용을 통해 환경 문제 해결에 앞장서야 한다는 압력을 받고 있다. RE100은 이런 흐름 속에서 탄생하였다. RE100(Renewable Energy 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 가능 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글로벌 이니셔티브이다. 이 캠페인은 비영리 단체인 The Climate Group과 CDP(Carbon Disclosure Project)가 2014년에 공동으로 시작했으며, 전 세계 주요 ..

[해양기술사 기출문제 풀이] 132회 1교시 - 9. 지진파 P파와 S파

지진은 지구 내부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로, 지진파는 이러한 에너지가 전달되는 방식이다. 지진파는 크게 P파(Primary wave)와 S파(Secondary wave), 그리고 L파로 구분되지만 오늘 글에서는 P파와 S파에 대해서만 다루도록 하겠다. 두 파동은 발생 원리와 이동 속도,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이며, 지진의 규모와 피해 예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파와 S파의 특징, 차이점, 그리고 이들이 지진 연구에서 가지는 중요성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지진파란, 지진파는 지구 내부의 단층이 갑작스럽게 움직이거나 화산 폭발 등으로 인해 방출된 에너지가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파동이다. 지진파는 매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전파되며, 내부파와 표면파로 나뉜다. P파와 S파는 내부파로..

[해양기술사 기출문제 풀이] 132회 1교시 - 8. 엘니뇨와 라니냐의 발생원인

엘니뇨와 라니냐는 열대 태평양 해수면 온도의 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연 현상이다. 엘니뇨와 라니냐는 전 세계의 기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두 현상은 지구의 기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강수량, 온도, 해양 생태계, 심지어 경제에도 깊은 영향을 끼친다. 오늘은 엘니뇨와 라니냐의 발생 원인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엘니뇨란 무엇인가? 엘니뇨는 스페인어로 남자아이를 의미한다. 평소보다 동태평양 적도 해역의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을 뜻하며, 이로 인해 전 세계적인 기후 이상이 발생한다. 엘니뇨는 일반적으로 2~7년 주기로 발생하며, 지속 기간은 평균적으로 9개월에서 2년 정도가 된다. | 엘니뇨의 발생 원인 엘니뇨의 발생 원인을 아래에 정리하였다. 1. 무역풍 약화 태..

[독서후기] 박희용(부동산히어로) 나는 진짜 돈이 되는 역세권 아파트에 투자한다

이번 도서 후기는 박희용(부동산히어로)의 '나는 진짜 돈이 되는 역세권 아파트에 투자한다'이다. 나 역시 부동산, 아파트 중에서 가장 핵심으로 꼽는 것이 교통이며, 당연히 역세권 아파트 위주로 본다. 그래서 책을 고를 때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중 하나가 역세권이다.  지난번에도 밴더빌트의 대한민국 역세권 투자지도를 읽고 리뷰를 했었는데(아래링크), 이번 책은 이전 책에 비해 더 실용적이고, 쉽게 쓰여진 책인 것 같다. 밴더빌트의 책은 철도와 관련하여 심도있고, 전문적으로 다룬 교과서 느낌인반면, 이 책은 일반인이 더 이해하기 쉬웠고, 정말 필요한 정보들만 축약해서 쓴 핵심 요약본 같은 느낌이었다.  대한민국 역세권 투자지도 [독서후기] 표찬(밴더빌트) - 대한민국 역세권 투자지도이번 책 후기는 밴더빌트라..

[해양기술사 기출문제 풀이] 132회 1교시 - 7. 해양바이오 산업

오늘은 132회 기출문제였던 해양바이오 산업에 대한 조사한 내용이다. 해양바이오 산업은 바다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물 자원을 활용해 의약품, 화장품, 식품, 에너지 등 고부가가치 제품을 개발하는 산업이다. 최근 해양 생태계의 무궁무진한 잠재력이 주목받으면서 해양바이오 산업은 지속 가능한 미래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오늘은 해양바이오 산업의 정의, 주요 활용 분야, 국내외 시장 현황, 그리고 전망에 대해 남겨보도록 하겠다. | 해양바이오 산업 해양바이오 산업은 해양 생물에서 유래한 유기물질과 유전자를 활용해 다양한 응용 제품을 개발하는 첨단 바이오 산업의 일종이다. 해양에는 지구 생물의 80% 이상이 서식하며, 우리가 아직 발견하지 못한 수많은 생물과 미생물이 있다. 특히 해양 생물은 독특한 환경에..

[해양기술사 기출문제 풀이] 132회 1교시 - 6. 굴패각 자원 활용 방법

굴은 서해안과 남해안의 주요 해산물로, 우리나라는 굴 양식이 활발한 만큼 수많은 굴패각이 버려지고 있다.따라서, 굴패각이 해양 쓰레기로 방치된다면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굴패각을 재활용하는 자원화 방안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오늘은 굴패각을 자원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환경적 효과를 살펴보겠다.    | 굴패각 자원화의 필요성 굴패각은 해양 생태계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기 어렵고 대규모로 방치되면 해안가 오염과 악취를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굴패각의 95% 이상은 탄산칼슘(CaCO₃)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건설자재, 비료, 사료 등으로 재활용이 가능하여 자원화 가치가 높다.   | 굴패각을 활용한 다양한 자원화 방법1. 비료로 활용..

[해양기술사 기출문제 풀이] 132회 1교시 - 5. 동해 냉수대 현상

| 동해냉수대 현상이란? 동해냉수대 현상은 여름철 동해안 해역에서 해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면서 나타나는 해양 현상이다. 냉수대는 수심이 깊은 곳에 있던 차가운 물이 표층으로 올라오며 형성된다. 강원도와 경상북도 동해안 일대에서 자주 발생하며, 이 지역의 어업과 해양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 동해냉수대 형성 원인 동해냉수대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용승 현상(upwelling)이다. 동해안은 지형적으로 가파른 대륙붕을 이루고 있어, 깊은 곳에 있던 차가운 해수가 표층으로 솟아오르기 쉬운 환경이다. 특히 바람이 해안선과 평행하게 불 때 자주 용승현상이 활발하며 따뜻한 표층의 물이 바다 쪽으로 밀려 나가면서 그 자리를 차가운 심층수가 메우며 발생한다. 여름철에 주로 발생하며, 그 결과 동해안 표층 ..

[해양기술사 기출문제 풀이] 132회 1교시 - 4. 저서오염지수(BPI)

오늘 공부한 내용은 4번 문제인 저서오염지수이다. 저서오염지수는 저서 생물의 분포와 다양성을 의미한다. | 저서오염지수(Benthic Pollution Index, BPI) 저서오염지수(Benthic Pollution Index, BPI)는 해양 생태계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해저에 서식하는 생물 종의 분포와 다양성을 측정하는 지표다. 특히, 저서생물은 오염에 민감해 수질 및 해양 환경 변화에 빠르게 반응하므로, 저서오염지수는 해양 오염 모니터링과 환경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저서오염지수의 중요성 저서오염지수는 매우 중요한 지표로 아래에 그 이유를 나타내었다. 1. 해양 생태계 건강 평가 저서오염지수는 해저 오염 상태와 생물 다양성 감소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고, 해양 생태계의 전반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