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이 3

[해양기술사 기출문제 풀이] 132회 1교시 - 12.폐기물 해양배출 적합성 판정, 생태독성 시험방법

해양기술사 132회 1교시의 12번 문항은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에 의거한 폐기물의 해양배출 적합성을 판정하기 위한 생태독성 시험방법 2가지를 설명하시오'다. 이 문제에 대한 답은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폐기물공정시험기준의 제1장 총칙에 나와있다. 제 2항 적용 범위의 4절을 보면, " 「해양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의 정밀평가란 이 해양폐기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폐기물의 해양 배출 적합성을 판정하기 위한 해양생태독성평가를 말하며, 시험 항목은 다음과 같다." 와 같이 서술되어 있으며, 시험 항목을 발광박테리아를 이용한 생태독성시험과 저서성 단각류를 이용한 생태독성시험이다. 따라서, 이 두 시험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발광박테리아를 이용한 생태독성 시험기준1. 측정원리해양성 발광박테리아의 발광..

[해양기술사 기출문제 풀이] 132회 1교시 - 9. 지진파 P파와 S파

지진은 지구 내부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로, 지진파는 이러한 에너지가 전달되는 방식이다. 지진파는 크게 P파(Primary wave)와 S파(Secondary wave), 그리고 L파로 구분되지만 오늘 글에서는 P파와 S파에 대해서만 다루도록 하겠다. 두 파동은 발생 원리와 이동 속도,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이며, 지진의 규모와 피해 예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파와 S파의 특징, 차이점, 그리고 이들이 지진 연구에서 가지는 중요성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지진파란, 지진파는 지구 내부의 단층이 갑작스럽게 움직이거나 화산 폭발 등으로 인해 방출된 에너지가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파동이다. 지진파는 매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전파되며, 내부파와 표면파로 나뉜다. P파와 S파는 내부파로..

[해양기술사 기출문제 풀이] 132회 1교시 - 5. 동해 냉수대 현상

| 동해냉수대 현상이란? 동해냉수대 현상은 여름철 동해안 해역에서 해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면서 나타나는 해양 현상이다. 냉수대는 수심이 깊은 곳에 있던 차가운 물이 표층으로 올라오며 형성된다. 강원도와 경상북도 동해안 일대에서 자주 발생하며, 이 지역의 어업과 해양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 동해냉수대 형성 원인 동해냉수대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용승 현상(upwelling)이다. 동해안은 지형적으로 가파른 대륙붕을 이루고 있어, 깊은 곳에 있던 차가운 해수가 표층으로 솟아오르기 쉬운 환경이다. 특히 바람이 해안선과 평행하게 불 때 자주 용승현상이 활발하며 따뜻한 표층의 물이 바다 쪽으로 밀려 나가면서 그 자리를 차가운 심층수가 메우며 발생한다. 여름철에 주로 발생하며, 그 결과 동해안 표층 ..